경력 증명, 산재 이력 확인, 퇴사 후 보험 이력 확인에 필요한 중요한 서류!
바로 **‘피보험자 이력확인서’**입니다.
이 서류는 근로자의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가입 내역을 공식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로, 각종 행정 절차나 취업 시 경력 증빙으로 자주 사용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근로복지공단 토탈서비스에서 피보험자 이력확인서를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출력하는 방법을 2025년 기준으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🧾 피보험자 이력확인서란?
피보험자 이력확인서는 근로자가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에 언제부터 언제까지 가입되어 있었는지를 증명하는 문서입니다.
가입 사업장, 가입 기간, 자격 취득 및 상실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어, 이직이나 실업급여 신청 시 필수 서류로 활용됩니다.
✅ 발급 방법 : 근로복지공단 토탈서비스 이용하기
1. 근로복지공단 토탈서비스 접속
- 홈페이지: https://total.comwel.or.kr
- 메인 화면에서 [개인서비스] → [고용·산재보험] → [이력조회/증명서] 메뉴로 이동
2.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
- 사용 가능한 인증 방식: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, 카카오, PASS 등
- 본인 명의의 인증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.
3. ‘피보험자 이력확인서’ 조회 및 출력
- [증명서 발급] 탭 클릭
- ‘피보험자 이력확인서’ 선택 후 조회
- PDF 다운로드 또는 프린트 출력 가능
🖨 출력 시 주의사항
- 출력 전에 기간 설정이 가능합니다. 전체 기간 또는 특정 연도만 선택해 발급할 수 있습니다.
- 사업장별 내역이 함께 나오므로, 여러 직장을 옮긴 이력이 있는 경우에도 한 장으로 정리됩니다.
- 발급 받은 PDF는 **인쇄 시 ‘공문서 확인번호’**가 포함되어 있어 기관 제출용으로 적합합니다.
활용 사례
활용 목적필요 이유
이직 시 경력 증빙 | 고용보험 이력 확인 |
실업급여 신청 | 고용보험 자격 확인 |
산재 신청 이력 확인 | 과거 산재보험 가입 내역 필수 |
각종 국가·지자체 지원사업 신청 | 고용 상태 증빙 자료 요구 |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공동인증서 없이 발급이 가능한가요?
A. **간편인증(카카오, PASS 등)**으로도 가능하나, 일부 기관은 공동인증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
Q. 모바일로도 발급할 수 있나요?
A. 현재 PC 웹 기반 이용을 권장합니다. 모바일 환경에서는 인증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Q. 가족이나 제3자의 이력확인서도 발급 가능한가요?
A.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본인 명의로 로그인 후 본인 이력만 확인 및 출력할 수 있습니다.
📌 결론: 피보험자 이력확인서는 꼭 챙기세요!
근로복지공단 토탈서비스를 통해 손쉽게 발급 가능한 피보험자 이력확인서!
이직, 실업급여, 산재 신청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수적인 서류입니다.
미리 출력해두거나 필요 시 빠르게 발급받을 수 있도록 토탈서비스 사용법을 숙지해두면 유용합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 주식 계좌 개설 시 주의사항 총정리 (1) | 2025.06.26 |
---|---|
이재명 25만원 민생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! (3) | 2025.06.08 |
🏨 2025 숙박세일 페스타 총정리 (2) | 2025.06.04 |
2025년 출산가정 지원금 총정리📌 (2) | 2025.06.04 |
선거인명부 인터넷 조회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6.03 |